Facebook Pixel
Searching...
한국어
EnglishEnglish
EspañolSpanish
简体中文Chinese
FrançaisFrench
DeutschGerman
日本語Japanese
PortuguêsPortuguese
ItalianoItalian
한국어Korean
РусскийRussian
NederlandsDutch
العربيةArabic
PolskiPolish
हिन्दीHindi
Tiếng ViệtVietnamese
SvenskaSwedish
ΕλληνικάGreek
TürkçeTurkish
ไทยThai
ČeštinaCzech
RomânăRomanian
MagyarHungarian
УкраїнськаUkrainian
Bahasa IndonesiaIndonesian
DanskDanish
SuomiFinnish
БългарскиBulgarian
עבריתHebrew
NorskNorwegian
HrvatskiCroatian
CatalàCatalan
SlovenčinaSlovak
LietuviųLithuanian
SlovenščinaSlovenian
СрпскиSerbian
EestiEstonian
LatviešuLatvian
فارسیPersian
മലയാളംMalayalam
தமிழ்Tamil
اردوUrdu
Bullshit Jobs

Bullshit Jobs

A Theory
저자 David Graeber 2018 335 페이지
4.03
29k+ 평점
듣기
듣기

가지 주요 요점

1. 쓸모없는 직업의 만연과 그 무의미함

쓸모없는 직업은 그 존재를 정당화할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무의미하고 불필요하거나 해로운 유급 고용 형태를 말한다. 고용 조건의 일환으로 직원은 이것이 사실이 아님을 가장해야 한다고 느낀다.

광범위한 현상: 쓸모없는 직업은 현대 경제에서 점점 더 흔해지고 있으며, 설문 조사에 따르면 부유한 국가의 노동자 중 37-40%가 자신의 직업이 무의미하다고 느낀다. 이러한 직업은 주로 다음과 같은 분야에 존재한다:

  • 기업 관료제
  • 금융 서비스
  • 행정 역할
  • 중간 관리직

쓸모없는 직업의 특징:

  •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제거해도 부정적인 결과가 없음
  • 종종 일하는 척하거나 불필요한 작업을 만듦
  •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직업에 비해 높은 보수를 받는 경향

쓸모없는 직업의 확산은 시장 경쟁이 불필요한 직위를 제거해야 한다는 경제 이론과 모순된다. 이 역설은 우리의 경제 및 사회 시스템에 더 깊은 구조적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2. 다섯 가지 유형의 쓸모없는 직업: 아첨꾼, 깡패, 임시방편자, 상자 체크자, 작업 관리자

평균 개발 팀은 3~4개월마다 한 번씩 쇼를 의뢰받는다. 완전히 쓸모없는 일이다.

아첨꾼: 다른 사람을 중요하게 보이거나 느끼게 하기 위해 존재

  • 실제로 할 일이 없는 접수원
  • 불필요한 행정 보조원
  • 인터콤이 있는 건물의 도어맨

깡패: 공격이나 조작을 포함하는 직업

  • 텔레마케터
  • 기업 변호사
  • 로비스트

임시방편자: 존재하지 않아야 할 문제를 해결

  • 잘못 설계된 시스템을 고치는 IT 전문가
  • 상사의 실수를 수정하는 직원

상자 체크자: 무언가를 하는 것처럼 보이게 함

  • 은행의 리스크 관리 전문가
  • 기업의 준법 감시관
  • 일부 중간 관리직

작업 관리자: 다른 사람에게 일을 할당하거나 만듦

  • 불필요한 감독자
  • 부하 직원에게 무의미한 작업을 만드는 관리자

이러한 범주는 종종 겹치며, 많은 쓸모없는 직업은 여러 유형의 요소를 결합한다. 공통점은 궁극적으로 불필요하거나 역효과를 내는 작업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3. 쓸모없는 직업이 초래하는 심리적 피해와 도덕적 혼란

나는 언제든지 누군가가 내가 여기 있지 않아도 아무것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그들이 돈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까 봐 불안하다.

심리적 영향: 쓸모없는 직업을 갖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우울증과 불안
  • 자존감 상실
  • 무가치함을 느끼는 감정
  • 일하는 척하는 것에서 오는 스트레스

도덕적 혼란: 쓸모없는 직업을 가진 노동자는 종종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한다:

  • 가치와 행동 사이의 인지 부조화
  • 무의미한 일에 대한 보수를 받는 것에 대한 죄책감
  •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원망
  •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혼란

쓸모없는 직업의 심리적 부담은 직장 밖에서도 개인 관계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노동자는 재정적 의무나 사회적 기대 때문에 잘 보수받지만 무의미한 직위를 떠날 수 없다고 느낀다.

4. 역설: 사람들은 쓸모없는 직업을 싫어하지만 일을 미덕으로 여긴다

유급 노동을 통해 정신과 몸을 파괴하지 않으면 제대로 살고 있는 것이 아니다.

노동 윤리의 모순: 사회는 일이 무의미하더라도 열심히 일하고 고용되는 것을 가치 있게 여긴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

  • 쓸모없는 직업에서도 일하지 않으면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들
  • 어떤 직업이라도 없는 것보다 낫다는 믿음
  • 단축 근무 주간이나 기본 소득과 같은 아이디어에 대한 저항

역사적 맥락:

  • 프로테스탄트 노동 윤리: 노동을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의무로 여김
  • 산업 혁명: 생산성과 시간 규율 강조
  • 탈산업 경제: 서비스 및 정보 직업으로의 전환

이 역설은 사람들이 쓸모없는 직업에서 불행하지만 도덕적으로 계속 일해야 한다고 느끼는 상황을 만든다. 또한 쓸모없는 직업의 유병률을 줄일 수 있는 정책에 대한 정치적 저항을 초래한다.

5. 관리적 봉건제와 쓸모없는 직업의 확산

지배 계급은 자유 시간과 행복한 생산적인 인구가 치명적인 위험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관리적 봉건제: 다음과 같은 시스템:

  • 부하 직원을 통제함으로써 권력과 지위를 얻음
  • 기업이 불필요한 관리 계층을 만듦
  • 효율성보다 계층 유지를 중시

쓸모없는 직업 확산의 원인:

  • 경제의 금융화
  • 행정 및 규제 관료제의 성장
  • 실질보다 외관을 중시하는 기업 문화
  • 완전 고용을 유지하려는 정치적 압력

이 시스템은 상위 직위의 존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새로운 쓸모없는 직업 계층을 만들어 스스로를 지속시킨다. 또한 노동력을 점유하고 기존 권력 구조에 도전할 가능성을 줄인다.

6. 사회적 가치와 보상의 역관계

자신의 일이 다른 사람들에게 명백히 이익이 될수록 보수를 덜 받는 경향이 있다.

가치 역설: 사회에 가장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업은 종종 가장 낮은 보수를 받는다:

  • 교사
  • 간호사
  • 사회복지사
  • 위생 노동자

높은 보수를 받는 낮은 사회적 가치 직업:

  • 금융 거래자
  • 기업 변호사
  • 마케팅 임원
  • 많은 중간 관리직

이 역관계는 원망과 도덕적 혼란을 초래한다. 또한 쓸모없는 직업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을 더하며, 사회적으로 무의미한 직위에 있는 사람들이 현 상태를 유지하려는 이해관계를 가지게 한다.

7. 쓸모없는 직업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으로서의 기본 소득

기본 소득이 도입된다면, 애니와 같은 직업이 계속 존재하기 어려울 것이다.

기본 소득의 이점:

  • 생존을 위해 일할 필요를 없앰
  • 사람들이 의미 있는 일이나 교육을 추구할 수 있게 함
  • 고용주와 직원 간의 권력 불균형을 줄임
  • 많은 쓸모없는 직업을 잠재적으로 제거

기본 소득 도입의 도전 과제:

  • 현 시스템에서 이익을 보는 사람들의 정치적 저항
  • 재정 및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 노동을 미덕으로 여기는 문화적 집착

기본 소득은 사람들이 가난의 위험 없이 쓸모없는 직업을 거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노동 시장을 근본적으로 재편할 수 있다. 이는 시간을 차지하거나 계층을 유지하는 능력보다는 실제 사회적 유용성에 기반한 노동의 재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FAQ

What's Bullshit Jobs: A Theory about?

  • Exploration of Useless Employment: The book investigates "bullshit jobs," defined as roles so pointless that even the employees struggle to justify their existence.
  • Subjective Experience: Graeber emphasizes that if employees feel their jobs are meaningless, they are likely correct, as they are best positioned to assess their work's value.
  •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It explores why these jobs proliferate and the societal acceptance of their existence, questioning broader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s.

Why should I read Bullshit Jobs: A Theory?

  • Insight into Modern Work: The book offers a critical perspective on contemporary work culture, challenging the idea that all jobs have inherent value.
  • Cultural Relevance: It resonates with readers who feel trapped in unfulfilling jobs, providing validation and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ir experiences.
  • Provocative Arguments: Graeber's arguments provoke thought about work, capitalism, and societal values, making it essential for those interested in economics, sociology, or labor issues.

What are the key takeaways of Bullshit Jobs: A Theory?

  • Definition of Bullshit Jobs: These are jobs that are pointless, unnecessary, or harmful, with employees unable to justify their existence.
  • Types of Bullshit Jobs: The book categorizes them into flunkies, goons, duct tapers, box tickers, and taskmasters, each with distinct roles.
  • Psychological Impact: It highlights the emotional toll of such jobs, including feelings of worthlessness and anxiety.

What are the best quotes from Bullshit Jobs: A Theory and what do they mean?

  • "Pointless jobs for productivity": This quote suggests that many jobs exist to maintain the illusion of productivity in a capitalist society.
  • "Dignity in labor conflict": It reflects the internal struggle of individuals in bullshit jobs, highlighting the gap between societal expectations and personal fulfillment.
  • "Moral and spiritual damage": Graeber emphasizes the deep psychological and societal harm caused by meaningless work, affecting collective well-being.

How does David Graeber define a bullshit job in Bullshit Jobs: A Theory?

  • Provisional Definition: Initially defined as employment so pointless that even the employee cannot justify its existence.
  • Subjective Element: The worker's perception is crucial; if they believe their job is pointless, it likely is.
  • Final Working Definition: A job where the employee feels obliged to pretend their work has value, despite knowing it does not.

What are the five types of bullshit jobs described in Bullshit Jobs: A Theory?

  • Flunkies: Exist to make others feel important, like receptionists or doormen.
  • Goons: Jobs with an aggressive element, such as lobbyists or PR specialists.
  • Duct Tapers: Solve problems that shouldn't exist due to organizational flaws.
  • Box Tickers: Allow organizations to claim meaningful action without real impact.
  • Taskmasters: Assign unnecessary work, creating bureaucracy and inefficiency.

Why do people in bullshit jobs report feeling unhappy, according to Bullshit Jobs: A Theory?

  • Lack of Purpose: Realization of pointless work leads to feelings of worthlessness and despair.
  • Forced Pretense: Maintaining a facade of productivity is demoralizing and alienating.
  • Social Isolation: Lack of meaningful interaction compounds feelings of loneliness and dissatisfaction.

What is the concept of managerial feudalism in Bullshit Jobs: A Theory?

  • Definition: A system where power and wealth are concentrated among a small elite, trapping workers in low-value roles.
  • Bureaucratic Inefficiency: Leads to unnecessary jobs that maintain the status quo rather than improve productivity.
  • Historical Context: Modern corporations operate similarly to historical feudalism, extracting value from workers with little return.

How does Bullshit Jobs: A Theory relate to mental health?

  • Connection to Unhappiness: Individuals in bullshit jobs often feel frustrated and depressed due to lack of meaningful work.
  • Impact of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is tied to perceived work value; pointless jobs harm mental well-being.
  • Need for Meaningful Work: Humans desire to contribute meaningfully, and unmet needs lead to psychological distress.

What solutions or alternatives does David Graeber propose in Bullshit Jobs: A Theory?

  • Universal Basic Income: Suggested to detach work from compensation, allowing pursuit of meaningful activities.
  • Reevaluation of Work: Advocates for redefining valuable work, moving away from purely economic success measures.
  • Encouraging Meaningful Employment: Calls for creating jobs that genuinely benefit society, breaking the cycle of meaningless work.

What are the societal implications of bullshit jobs discussed in Bullshit Jobs: A Theory?

  • Cultural Acceptance: Reflects deeper issues within capitalism and societal values.
  • Political Ramifications: Leads to a disengaged workforce, affecting political stability and social cohesion.
  • Moral Confusion: Creates ambiguity, with individuals struggling to reconcile roles with values, leading to discontent.

How does Bullshit Jobs: A Theory challenge traditional views of work?

  • Critique of Work as Virtue: Challenges the notion that all work is virtuous and should be valued simply for existing.
  • Questioning Employment Morality: Suggests society should not equate employment with worthiness, challenging ingrained beliefs.
  • Advocacy for Meaningful Contributions: Emphasizes the need for work that genuinely benefits society, advocating for redefining valuable labor.

리뷰

4.03 중에서 5
평균 29k+ GoodreadsAmazon의 평점.

Bullshit Jobs: A Theory는 현대 사회에서 무의미한 일의 만연함을 탐구한다. 그레이버는 많은 직업이 불필요하고 심지어 해롭다고 주장하며, 37-40%의 직업이 "헛소리"라고 제안한다. 이 책은 이러한 직업을 분류하고, 그것이 노동자들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을 조사한다. 일부 독자들은 이 책이 통찰력 있고 생각을 자극한다고 느꼈지만, 다른 이들은 일화에 의존하는 점과 견고한 분석이 부족하다는 점을 비판했다. 이 개념은 많은 독자들에게 공감을 얻었는데, 그들은 만족스럽지 못한 일을 경험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는 이 책이 더 간결하고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했어야 한다고 느꼈다.

Your rating:

저자 소개

미국의 인류학자이자 아나키스트였던 데이비드 롤프 그레이버는 학문적 연구와 정치적 활동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예일 대학교와 런던 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교수직을 역임했다. 그레이버는 세계 경제 포럼에 대한 항의와 점거 운동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했다. 그는 세계산업노동자조합의 일원이기도 했다. 그레이버의 연구는 종종 전통적인 경제 및 정치 시스템에 도전하며, 부채, 관료제, 노동의 본질과 같은 주제를 탐구했다. 그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세상을 떠났으며, 영향력 있는 저서와 활동을 유산으로 남겼다.

Other books by David Graeber

0:00
-0:00
1x
Dan
Andrew
Michelle
Lauren
Select Speed
1.0×
+
200 words per minute
Create a free account to unlock:
Requests: Request new book summaries
Bookmarks: Save your favorite books
History: Revisit books later
Ratings: Rate books & see your ratings
Try Full Access for 7 Days
Listen, bookmark, and more
Compare Features Free Pro
📖 Read Summaries
All summaries are free to read in 40 languages
🎧 Listen to Summaries
Listen to unlimited summaries in 40 languages
❤️ Unlimited Bookmarks
Free users are limited to 10
📜 Unlimited History
Free users are limited to 10
Risk-Free Timeline
Today: Get Instant Access
Listen to full summaries of 73,530 books. That's 12,000+ hours of audio!
Day 4: Trial Reminder
We'll send you a notification that your trial is ending soon.
Day 7: Your subscription begins
You'll be charged on Mar 1,
cancel anytime before.
Consume 2.8x More Books
2.8x more books Listening Reading
Our users love us
50,000+ readers
"...I can 10x the number of books I can read..."
"...exceptionally accurate, engaging, and beautifully presented..."
"...better than any amazon review when I'm making a book-buying decision..."
Save 62%
Yearly
$119.88 $44.99/year
$3.75/mo
Monthly
$9.99/mo
Try Free & Unlock
7 days free, then $44.99/year. Cancel anytime.
Settings
Appearance
Black Friday Sale 🎉
$20 off Lifetime Access
$79.99 $59.99
Upgrade Now →